본문 바로가기
  • 나의 너에게
반응형

스타니슬랍스키16

극적행동을 찾아내는 방법 어떤 장면을 할 때 고민해 봐야 하는 것.(극적행동을 찾아내는 방법) 연기의세계 中 1) 등장인물 이 실제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실제로 무대에서 벌어지는 것. 대본에서 벌어지는 것을 문자 그대로 보고 찾는다.의미 부여 필요없이 그저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2) 등장인물이 실제로 하고 있는 것의 극적 행동은 무엇인가?물음1에서의 답으로 행동을 할것이고 그것을 왜하는지에 대해 생각.그 행동을 통해 무엇을 성취하고 싶어하는지 3) 그 행동은 나(연기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만약 내가, 의 접근은 선택한 행동을 충실히 이해하기 위함 선택한 행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과정일뿐 자신의 경험을 무대 위에서 연기하기 위해서는 아니다. 2020. 11. 5.
미카엘 체홉을 통한 인물창조방법 배우에게 인물창조를 어떻게 할것인가? 크게 심리적인 접근 방법과 신체적인 접근 방법으로 나눈다.하지만 이원론적인 연기 방식에서 심리와 신체를 통합된 ‘몸’으로 받아드려야 한다는 일원론적인 심리신체적 Phychophysical인 방식의 연기로 변화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자.몸의 연기의 그 핵심은 크게 1)배우의 중심 감각과 미카엘 체홉의 2) 심리 제스처 그리고 3) 인물의 중심이다. 1)배우에게는 중심 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그것은 인물창조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다시 말해 배우가 역할에 따라 배우 자신의 중심 각각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인물의 중심성격과 동일하게 되기 위해서 중심에 대한 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것을 고정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인물창조의 중요한 수단.무대 위에서의 창조가 자신의 중심으로.. 2020. 11. 2.
정확한 연기와 자유로운 연기 사이에서(feat.김세환연출가) 연기에는 두가지 모순되는 개념이 있다. '정확한 연기'와 '자유로운 연기'이다.정확한 연기는 마음대로 연기하지않고 연기적 목표를 이성적으로 계획해서 연기하는 것인데, 자유로운 연기와 충돌한다. 자유로운 연기는 계획해서 연기하지않고 순간적인 감정을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연기인데 정확한 연기와 충돌한다.이 두가지 개념이 충돌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연기는 고통의 연속이다. 정확하게 연기하려면 "왜 항상 똑같이 연기하냐? 새로운걸 시도했으면 좋겠다." 자유롭게 연기하려면 "왜 마음대로 연기하냐? 정해진 건 지키면서 연기하면 좋겠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불능상태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무엇이 더 중요한가?" 라고 묻는다면, 질문이 틀렸다. 둘 다 중요하기 때문이다."그럼.. 2020. 11. 2.
스타니슬랍스키 연기연습과정 스타니스랍스키 체험 연기론 체험의 예술은 창조하는 배우의 내적 정서로서 관객의 심리적 감화를 지향하는 예술이다.배우의 매 걸음, 각각의 모든 움직임과 행동은 내면정서에 의해서 정당성이 부여되고, 그때에 비로소 살아있는활기를 가질 수 있다. 오직 그 경우에만 '진실과 자연스러움과 아름다움의 연극'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체험연기 vs 재현연기 반드시 체험이여야만 하는 이유는? '재현' 또는 그밖의 것들로 연기예술의 본성적목적을 대신하면 안되는것인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밝혔듯, 연극은 '인간행동의 모방'으로서 즉, 연기라는 인간의 행위는타자의 삶과 행동을 모방하고자 하는 인간의 모방본능이 창조해낸 행위의 결과물이다. 거울을 보며 타인을흉내 내듯, 그러한 욕구가 인류에게 연기라는 양식적행위를 행하게끔 .. 2020. 10. 30.
크라즈너가 말하는 메소드연기의 공통점 크라즈너의 ‘메소드 대가 3인방이 말하는 공통점’ 1. 배우는 즉각적으로 움직이고 말해야 하지만 동기를 최대한 강조할 수 있도록 연습과정에서 모든 것이 분석되어야 한다. 2. 인물의 동기를 찾을 때, 배우는 목표, 행동, 그리고 의도를 찾는다. 배우는 무대 위의 모든 행동들의 동기가 되는 초목표 또는 관통선을 찾아야 한다. 3. 인물의 초목표는 반드시 절박함을 갖고 있어야 한다. 모든 행동과 목표는 즉각성을 갖고 있어야한다. 이것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쉽게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만들어낸다. 4. 목표를 지지하기 위해, 배우는 인물의 행동의 동기를 제공하는 서브텍스트 혹은 생각의 과정을 창조 한다. 희곡의 모든 말에는 작가가 쓴 글을 지지하고 정보를 알려주는 내재된 비언어적인 기저가 존재한다. .. 2020. 10. 22.
사실주의 작품의 장면분석표 사실주의 작품의 장면 분석(Scene Analysis of Realism Plays) 1. 인물의 작품 전체에서의 초목적(super-objective)은?(인물의 초목적이란 희곡 속의 각 인물이 작품전체에서 인물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인 욕망(main desire)이다.) 2. 인물이 초목적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하는 인물들의 장면 내 목표는? 3. 각 인물의 갈등의 원인이 되는 각 인물의 주어진 환경(Given Circumstances)은? (Given Circumstances include the story of the play, the facts, events, epoch, time, and place of action, supplemented by out imagination) 4. 장면 내에서.. 2020. 10. 22.
스타니슬랍스키 대본 분석론 스타니슬랍스키 죽기 바로 얼마 전에 조연출들을 불러 놓고 희곡을 분석하는 방법을 세 단계로 요약하여 설명했다. 첫 번째 단계 : 연출가에 의해 초목적을 임시로 정하는 예비 작업. 제일 먼저 희곡을 커다란 에피소드로 나누고 그다음에 작은 사건들로 나눈다. 그러는 가운데 각 사건에 등장하는 모든 역할의 기본적 행동들을 정한다. 그런 다음에 연출가와 연기자들이 자리에 앉은 채 토론을 통하여 구성의 유기적 발전 관계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에 연기자들은 역시 자리에 앉은 채, 일어서서 움직여야 할 절대적 필요성을 느낄 때까지 각 에피소드의 목적을 마음에 간직한 채 상대역과의 관계를 고려해 가며 맡은 역할의 신체적 행동을 설정하고 기록한다. 두 번째 단계 : 희곡을 사고(ideas)의 논리적 순서와 사고가 야기한 .. 2020. 10. 20.
대본 읽기 기초(대본 구성과 분석) 대본의 구성과 분석 1. 대본(또는 희곡)의 구성 요소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연극의 구성 요소를 플롯 인물, 사상, 언어, 음악 그리고 장경(場景)의 6가지로 분류했다. 이 중 플롯, 인물, 사상, 언어는 희곡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음악화 장경은 공연을 통해 구체화되어 드러난다. 1. 플롯 희곡 속의 이야기는 어떤 사건의 진행을 특별하게 배열함으로써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그 진행은 3단계 구조(사건의 전개-절정-해결)나 5단계 구조(사건의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를 갖는다. 그런데 이런 직선적인 구조는 현대 희곡에 와서 각각 독립적인 장면을 연결하는 방식의 극작술로 대체되기도 한다. 그러나 인과적인 전개가 사라진 듯 보이는 희곡에서도 각 장면들은 내적인 관계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2. 인물 .. 2020.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