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큰 틀부터.
시나리오나 희곡 모두 하나의 드라마를 가지고 있는 글들은 촘촘히 짜여져 있는 직조물이다.
하나하나의 사건들이 모아져 하나의 이야기가 된다는 것이다. 이야기란 학창시절 배웠다시피 기승전결로 돼있다.
여기에서는 배우들에게 쉽게 알 수 있는 정보만 빼서 간추려 정리하려 한다.
더불어 한 인물의 장면, 그리고 그 장면안의 대사를 보기 전에 큰 틀, 즉 이야기의 구조를 살펴보자.
도입부- 막이 오르기 전까지 있었던 사건들, 등장인물의 전체, 현재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게 된다.
덧붙여 이제부터 전개될 극 행동에 대한 동기부여가 있어야 한다.
전개부- 사건들의 복잡화에 해당. 제시된 상황에 새로운 어떤 것이 개입(의외의 정보를 발견하기, 예기치 못한 인물 출현)
절정부- 사건들이 극도로 복잡해져 갈등과 긴장이 절정에 달하면 전환점을 맞이한다.
종결부- 전환점으로부터 결말에 이르는 부분으로 극 행동의 출발 상황에 제기됐던 질문에 대한 대답이 제시된다.
-
이것이 우리가 학창시절에 배웠던 기승전결의 정의고 이걸 어떻게 찾아낼까를 알아보자.
대본은 등장인물의 갈등과 그에 따른 해결과정이라고 이해해야한다.
대본의 갈등을 끌고 가는 주인공이 전문용어로 프로타고니스트 라고 부른다.
프로타고니스트와 적대되는 인물을 안타고니스트라고 부른다.
위의 정의에서 배우에게 필요한 말로 바꾸자면,
도입부- 갈등의 대상(등장인물)이 소개되는 순간
전개부- 프로타고니스트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순간
절정- 프로타고니스트가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성공하거나 실패하여 갈등이 해결되는 순간
결말- 오해가 풀리고, 연인들을 재회하며 시체들은 밖으로 옮겨진다.
우리는 이것으로 큰 틀을 세부화하고 해체해 알아보려고 한다. 그래야 인물의 흐름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확하게 어떤 갈등인지, 동기를 찾기 위해서도 유용한다.
-
갈등을 확인하고 결정하기 위한 질문들
우리는 어떻게 희곡이 시작부터 끝까지 진행되는지 알아야만 분석의 초석을 위한 해체가 가능하다.
-
‘어느 순간에 갈등이 해결된 것처럼 보이는가?’
갈등이 해결된 순간이 바로 절정의 순간이다.
잠정적 결정상태에서 절정 이후 새로운 사건과 갈등이 없는지 확인. 결혼하거나 오해가 풀려야 한다.
-
‘ 이 절정의 순간까지 갈등을 몰고 온 사람은 누구인가?’
이 사람이 프로타고니스트가 되는 것이다.
-
주요한 극적 의문( Major Dramatic Question)은 무엇인가?
권투 경기의 주요한 극적 의문(이하 MDQ)는 ‘누가 이 싸움에서 이길 것인가?’다.
그것이 관객들을 궁금해 하게 하고 열광하고 감동하는 것이다. 우리는 대본이라는 큰 틀에서 이것을 알아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연기하는 인물이 관객들과 더 교감하며 연기할 수 있을 것이다.
MDQ는 사건으로부터 기인(주제가 아님) 하고 핵심은 모든 관객들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 즉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를 더 분명하고 강력하게 말해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우리가 확인한 절정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면 그 다음 질문을 한다.
‘이 절정의 순간에 어떤 MDQ가 대답이 되었는가?’
-
갈등 분석의 추가적 검증
희곡의 구조는
1——1——-1——————————————————1——1
(전개부) (도입부) -갈등- (절정) (결말)
-
갈등의 대상이 소개되는 순간은 언제인가?(사건의 도입부)
-
프로타고니스트가 자신의 동기를 충족하기 위해,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대립되는 세력들을 극복하려고 전념하는 돌이킬 수 없는 순간은 언제인가? (사건의 전개부)
-
프로타고니스트에 대립하는 등장인물들은 누구인가?
희곡의 사건 도입부 파악, 프로타고니스트가 사건에 개입하는 순간, 대립적 세력들을 분명하게 확인하는 것들은 갈등의 궤적을 이해하고 희곡의 갈등을 정확하게 강조하는 방식으로 프로덕션을 구조화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요인들이다.
하나의 큰 구조로 대본을 보면 조그마한 장면까지 모두 ‘갈등-해결구조’다.
절정을 찾고, 절정까지 끌고 가는 인물을 찾고 MDQ의 대답으로 확신을 가지고 분석하면 된다.
-
이 과정에서의 배우들의 오류
이 분석 도구는 대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연기에 접근하기 앞서, 배역에 접근하기 앞서 큰 숲을 보는 작업이다.
연기 접근 과정에서 흐름의 부족을 이 도구들이 채워줄 수 있을 것이다.
서울스테이지 액팅스튜디오
고민끝에 더 많은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액팅스튜디오를 오픈!
용산구에서 수업을 진행 중!!
https://blog.naver.com/acting_101/223008016592
https://blog.naver.com/acting_101/223008028206
현재 문의는 오픈프로필과 인스타 dm으로만 받고 있습니다.
오픈기념으로 문의 후 등록하시면 20% 할인 적용해드리겠습니다.
많이 이용 부탁드려요!
카톡 문의
서울스테이지
https://open.kakao.com/o/s7YdgQ2e
인스타그램
반응형
'연기 > 연기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카엘 체홉을 통한 인물창조방법 (0) | 2020.11.02 |
---|---|
3.대본 분석(행동 찾기) (0) | 2020.11.01 |
1. 호기심만으로 대본 읽기 (0) | 2020.10.31 |
프롤로그 (0) | 2020.10.31 |
스타니슬랍스키 연기연습과정 (0) | 2020.10.30 |
댓글